◆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요한복음 1장 14절은 구원의 수단(또는 agent,일꾼)인 로고스(말씀)가 육신의 옷을 입고 세상에 오시어, 하나님을 계시하고 그의 구원을 이루었고, 우리는 이제 하나님을 알고 구원을 얻게 된 사실을 선포하고 있습니다. 즉 로고스(말씀)의 성육신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낸 사건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게 하는 사건입니다. 또한 로고스의 성육신을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를 죽음에서 생명으로 이끄는 길이 됩니다. ◆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① 광명, 광휘의 영광로고스의 성육신은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사건입니다. 여기서 영광이란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이 모세에게 십계명을 주시기 전에 시내산에 구름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가득하였습니다. “여호와의 영광이 시내 산 위에 머무르고 구름이 엿새 동안 산을 가리더니..”(출24:16) 또한 회막이 세워지고 찬양이 끝났을 때도 하나님의 영광이 구름을 통해 나타났습니다. “구름이 회막(the tent of meeting)에 덮이고 여호와의 영광이 성막(tabernacle 이동식 예배소)에 충만하매”(출40:34)
사람들은 왜 옷을 입을까요? 자신의 수치심을 감추기 위해, 자기 몸을 장식하고 싶다는 욕망등으로 옷을 입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입니다. 그런데 패션입기는 사회적 차별화와 계급 구별의 욕망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이 사회학적 이해입니다. ◆ 패션은 기호이다. 패션은,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에 의하면, 정신적 지표이자 기호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1>의 예시를 인용해보면, 루즈를 입술에 바른 여인을 길거리에서 우연히 마주칠 때 루즈의 두께, 색깔등을 통해 그녀의 정신적 용모가 가늠될 수 있습니다. 정신적 지표란 기호로도 이해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호란 의미를 전달하는 말, 음악, 이미지를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기호학자 소쉬르(F. Saussure)의 관점에선, 표현의 記表(프랑스어 signifiant,씨니피앙)와 의미의 記意(signifie, 씨니피에)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즉 루즈라는 기표적 상징이 저속하다거나 고상하다는 정신상태의 기의를 전달합니다. 이처럼 복식은 기표적 상징성과 느낌을 전하는 기의의 개념을 전하고 있습니다. (服飾과 패션은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복식은 신체를 변형시키거나 신체에 더해지는
# 바다가 보이는 아름다운 리조트 앞에 푸른 바다와 멋진 백사장이 펼쳐져 있다. 당신 옆에는 사랑하는 사람이 누워 있다. 그리고 그와 한 잔의 커피를 마신다. 그런데 그 커피는 싸구려 커피에 쓴 맛이 진하고 설탕이 듬뿍 들어있는 로부스타 커피이다. 그 커피는 어떤 맛이 날까? 커피 맛은 무엇에 좌우되는 걸까? 상식적으로 커피 성분이 좋으면 커피 맛도 좋을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즉 고급원두인 아라비카로 로스팅 된 커피가 로부스타 커피보다 더 맛있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는 커피 맛은 성분 때문에 느껴진다는 상식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심리적 상태가 커피 맛을 좌우한다는 연구 (「김수진 정승호 (2018) “심리적 상태에 따른 커피 맛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상식을 전복시킴으로 흥미롭다. 정말 로부스타 커피를 마시고 있어도 심리 예컨대 행복감을 느끼고 있을 때, 로부스타 커피의 맛은 아라비카 커피 맛처럼 느껴질까? ( ▷ 이 글은 <김수진 정승호 (2018) >논문의 요약입니다. ) ◆ 취향과 커피 선호 사람들은 취향에 따라 커피 선호를 달리한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커피 성분을 택하거나, 성분에 첨가되는 우유와 물등을 조절하여 커
영국의 싱어 송 라이터, 제임스 아서(James Arthur, 1988~)가 부른 <Recovery>는 자존감에 상처를 입은 이가 자존감의 회복을 위해 싸워나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허스키보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진정성 있는 울림은 증오와 오만의 폭탄을 퍼붓는 이들이 위세를 떨치는 세상에서 작은 위로가 되고 있습니다. <Recovery> sung by James Arthurhttps://www.youtube.com/watch?v=m9DO3zpdWqw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 I don't want to play this game no moreI don't wanna play itI don't want to stay 'round here no moreI don't wanna stay hereLike rain on a Monday morningLike pain that just keeps on going on 더 이상 이 게임을 하고
“Something To Believe In”은 미국의 글램 메탈(헤어메탈, 팝 메탈)밴드인 ‘포이즌’의 1990년 앨범 < Flesh&Blood >에 수록된 파워 발라드 곡입니다. 사회비판적인 가사에는 종교의 세속화, 전쟁이 낳은 트라우마, 빈부 격차등이 거친 표현들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현상과 사건들로 비롯된 상실감,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그리고 신과의 관계 단절등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Something To Believe In "by Poison https://www.youtube.com/watch?v=G5uamDMoW4o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 Twenty-two years of mental tearsCries a suicidal Vietnam vetWho fought a losing war on a foreign shoreto find his country didn't want him back22년간
「알키비아데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큰 나라의 가장 잘 나가는 가문 출신에 훌륭한 친구과 친척, 재력과 지위등의 특권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수려한 용모까지 겸비해 “몸을 비롯해 혼에 이르기까지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을 만큼” 모든 것을 지닌 청년이었다. 외모가 출중하여 어릴 때 수 많은 연인들의 흠모를 받았지만, 오만한 성격과 태도로 모두에게 퇴짜를 놓는 사이 나이를 먹게 된다. 그렇게 모두가 떠나버리고 혼자 남게 되었을 때 소크라테스는 그에게 말을 건다. 그가 말을 건 이유는 만약 어떤 신이 “현재 지니고 있는 것들을 유지한 채 살 것인가, 아니면 그 이상을 얻고 싶지만 그럴 가망이 없으면 그 즉시 죽고 싶은가?”라고 알키비아데스에게 묻는다면 그가 “죽음을 택할 것 같아서”였다.」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몸을 비롯해 혼에 이르기까지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을 만큼” 모든 것을 지닌 그리스의 청년입니다. 그리스에서 가장 큰 나라의 가장 잘 나가는 가문 출신에 훌륭한 친구과 친척, 재력과 지위등의 특권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려한 용모까지 겸비했던 겁니다. 그런데 그는 도시국가를 통치하고자 하는 정치적 야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알키비아
< Big Girl Don’t Cry >는 미국의 가수, 작곡가인 퍼기 더멜(Fergie Duhamel: 1975~)이 2006년 발표한 솔로 데뷔 앨범 <The Dutchess>에 수록된 팝 발라드 곡입니다. 이 곡은 ‘홀로있음’ ‘홀로서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사랑했던 이와의 이별 후, 홀로 삶을 개척해 나가겠다는 다짐을 말합니다. <Big Girl Don’t Cry> sung by Fergie https://www.youtube.com/watch?v=SvAQAeLa-jY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 The smell of your skin lingers on me now당신의 체취가 아직도 내게 남아 있어요You’re probably on your flight back to your hometown당신은 아마도 고향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이겠지요I need some shelter of my own protection, baby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1963~2012)의 <I look to you>는 팝의 명곡으로 손꼽히는 노래로, 높은 벽에 가로막혀 절망하는 이들에게 위로와 자유를 안겨줍니다. I Look To You by Whitney Houstonhttps://www.youtube.com/watch?v=5Pze_mdbOK8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 As I lay me downheaven hear me now나 자신을 내려놓을 때하늘은 그제야 나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I’m lost without a causeafter giving it my all난 이유도 없이(모른 채) 길을 잃었지요. 나의 모든 것을 쏟아 부었는데 말이죠. Winter storms have comeand darkened my sunAfter all that I’ve been throughWho on earth can I turn to겨울의 폭풍이 다가왔지요 그리고 나의 태양을
Honey pie! 당신을 생각만 해도, 내 무릎은 흔들립니다. 부디 내가 있는 곳으로 돌아오지 않을래요? 비틀즈가 부릅니다. <Honey pie> https://www.youtube.com/watch?v=1ELUBYZ61o4[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을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She was a working girl그녀는 일하는 소녀였죠North of England way영국 북부 어디 쯤에서요 Now she’s hit the big time지금 그녀는 크게 성공했죠In the USA미국에서 말입니다 *she’s hit the big time‘hit the big time’은 ‘to become successful and widely known’의 의미를 가집니다. ‘Social programs hit the big time.’ ‘She hit the big time following the release of her debut album The Fame in 2008.’등의 문장
빛나는 후광(halo)을 지닌 이가 내 앞에 나타났습니다. 상처받은 자아의 벽은 그의 빛나는 후광의 힘으로 무너져 내립니다. 난 어떤 저항이나 의심조차 없이 그를 내 안에 받아들입니다. 이제 난 그의 포옹 안에서 위로와 회복을 얻습니다. 미국의 팝 디바 비욘세(Beyonce)가 부릅니다. <Halo> https://youtu.be/yrJ7CVeiFvo [PC에서 동영상시청: url위에서 더블클릭 (혹은 url 블록지정) ---> 마우스 오른쪽 버튼클릭 ----> url 이동 클릭 *모바일에서 시청: url 길게 누르기 ㅡ>블록에서 유튜브아이콘 클릭] ◇Remember those walls I builtWell, baby they're tumblin’ downAnd they didn't even put up a fightThey didn't even make a sound내가 쌓은 저 벽들을 기억하나요. 그 벽들이 무너져 내려앉고 있어요.맞서 싸우지도 못하고 무너졌지요. 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말이죠. *they're tumblin’ down:tumble은 비틀거리며 내려앉는 모습을 묘사하는 단어로, ‘(건물등이) 무너지다.’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