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치

[라캉 :욕망과 분리 ]자아, 초자아의 쪼아대는 명령에 배반하여 명시적 법을 세워야

-히스테릭한 사랑, 욕망이 대상이 될 뿐
-주체 , 히스테릭한 사랑에서 분리하여 환상 가로지르기
-명시적 법, 초자아의 욕망인 기득권의 욕망을 억제



사랑은 생산적이다. 사랑하는 이는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성장과 개발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랑은  꽃을 사랑하는 사람이 꽃에 물을 주는 것과 같다고 한다. 


하지만 사랑이 일방으로 흐르게 된다면,  그 사랑은 히스테릭적 일 수 있다.  자신이 상대의 아름다운 구원자라는 환상을 품고, 상대의 결여를 채워줄 수 있는 대상이 되기를 욕망하는 것이다.  


실제로 히스테릭한 사랑은  흔히 발견되는 사랑 방식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받기를 바라고 인정받기를 원한다. 이런 욕망은 자신이 상대가 원하는 사람이 되도록 자극한다. 또 상대가 원하는 것을 추측하여 그의 불완전함을 채워주고자 한다. 


이처럼 우리는 ‘I want to be wanted.’라며, 욕망되는 대상이 되고자 한다.


그래서 라캉은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고 정의하였다. 주체는 타자의 욕망의 원인이 되기를 욕망하는 것이다.  라캉의 표현에 의하면, 주체가 타자의 욕망의 대상 a가 되려 한다.  자신의 한 부분, 즉 대상 a를 타자의 결여를 메우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타자는 대상a를 통해 향락, 즉 주이상스를 획득하게 된다.



◆ 주체, 히스테릭한 사랑에서 분리


히스테릭한 사랑은 타자의 결여를 채워줄 수 있는 대상이 되기를 욕망한다는 것인데, 이는  병리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히스테리적 주체는 자신이 욕망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욕망의 원인이자 대상이 될 뿐이기 때문이다.


그는 타자가 결여를 가지고 있는 존재이고 자신이 그 결여를 메워 줄 수 있는 대상이 되고자 하며, 될 수 있다고 착각하는 주체이다. 그러나 그는 타자의 욕망의 공간속에 사로잡혀 있는 존재, 대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주체는 분리에 대한 욕망을 품을 수 있다. 주체는 타자의 관심사가 궁극적으로 빈 곳을 채우는 것, 대상 a에 지나지 않는다고 깨닫게 된다. 


그러므로 분리란  대상 a를 자신으로부터 떼어내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분리는 치유로서의 분리이다.  자신을 타자의 욕망의 대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신이 욕망의 주체로 거듭나게 되는 것이다.  라캉의 언어에 따르면, 주체는  ‘환상을 가로지르기’시작한다.


주체는 이제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도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는 비움의 과정으로 들어서는 것이다.



◆초자아의 욕망의 불문율  vs 자아의 명시적 법


주체도 결여의 대상이라는 자각, 욕망의 주체라는 깨달음은 초자아의 ‘즐겨라’라는 정언명령에 쉽게 굴복하지 않는다. 이런 향락, 주이상스는 타자의 의지 일뿐 자아와 대립된다. 


이지점에서 분열이 발생한다. 자아와 초자아의 분열이 나타나는 것이다. 욕망의 법을 배반하라고 명령하는 자아와 그 욕망을 즐기라고 강요하는 초자아 간의 분열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 욕망이란 기득권의 욕망이며 타자의 욕망이다. 주체는 더 이상 이런 타자의 결여를 채워주는 역할에 종속되지 않는다.


욕망의 주체로서 환상을 가로지르는 주체는 초자아의 불문율의 정치에 종속되지 않는다. 초자아는 명령들을 퍼부으며 이를 지킬 수 없어 쩔쩔매는 개인들의 모습을 보며 잔인하게 즐기고 있다.


하지만 거듭난 주체는 초자아가 퍼붓는 비난에도 더 이상 타자의 욕망에 충실하지 않는다.  또 타자가 명하는 주이상스의 달콤함에 굴복하지 않는다.


외려 주체는 이제 기득권의 욕망의 불문율을 배반하고 공식적 법을 세우고자 한다. 초자아의 쪼아대고 간섭하는 불문율보다 자아에 의한 철저한 명시적 법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명시적 법은 분명 초자아의 욕망인 기득권의 욕망을 억제하는 법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명시적 법을 세우는 것은 초자아의 즐겨라는 명령에도 무릎 꿇지 않는 유일한 정의의 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