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나눔

[세월호 희생자 5주기 ② ] 위로와 힘은 어디로부터 오나?

해마다 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는 4월이 되면, 체한 듯이 가슴의 답답함을 느끼곤 합니다.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부부의 얼굴이 떠올라서입니다.


그 부부와의 조우는 2014년 4월 중순, 세월호 침몰 취재를 위해 며칠 머물렀던 진도실내체육관에서입니다.


L


 당시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은 진도실내체육관에서 한 줄기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아들 딸들의 무사귀환을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기자들은 2층 관중석 중 한 자리를 차지하고 쪽잠을 자며 취재를 하였는데, 기자도 2층 관중석 한 구석에서 기사를 쓰면서 가끔 몸을 눕히곤 하였습니다. 


한 부부도 기자가 머물렀던 곳 근처에서 시시각각 전해지는 구조 소식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같은 공간에서 함께 며칠 생활하다보니, 그 부부와 무언의 소통이 흐르고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실종자 구조가 장기로 접어드는 기미가 흐르자, 현장을 철수하고 서울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주섬주섬 짐을 챙기자, 부부는 불안이 그득한 눈으로 기자를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그 시선은 무언으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가지 마요. 내 아이의 생사를 확인할 때까지 함께 있어 줘요.’라고요.


하지만 서울에서 제대로의 기사를 쓰겠다는 나름의 핑계로, 그들의 무언의 호소를 애써 외면하며 체육관 2층을 황급히 빠져나갔습니다.  


며칠 더 머물며 구조 소식을 좀 더 지켜보았어도 좋을 상황이었지만,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그곳에서 당장 도망가고 싶다는 마음이 그곳을 떠나도록 부추긴 것입니다. 


그 이후 진달래가 피는 시절이 돌아오면, 절망에 찬 눈으로 저를 바라보던 부부의 모습이 불현듯 떠오릅니다. 


배반하는 듯이 그들에게 등을 보인 행동으로 인해 죄책감이 엄습합니다.


그리고 비록 이야기를 한 번도 나눈 적도 없고 어떤 도움도 주지 못했지만, 고통의 자리에 함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위로와 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그 시선을 통해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세월호가 맹골수도에 침몰한지 5년이 되는 올해, 그저 그 부부가 자식을 잃은 고통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났으면 하는 바람뿐입니다. 그 기도가 저의 죄책감을 덜어내는 유일한 방법이겠지요.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