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기억은 사실이 아닐지 모른다.” 영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에서, 토니는 자신의 기억 속의 과거와 실제의 과거가 달랐다는 것에 후회로 가득 찬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다. 토니는 40년 전 자신의 친구 에이드리언에게 보낸 저주에 찬 한 통의 편지가 엄청난 파국을 몰고 왔다는 사실을 그동안 인지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확신에 찬 기억도 상황에 대한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해석의 결과라는 사실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우리는 종종 편향되고 독단적인 기억 속에서 관계를 해친다. 이렇게 윤색된 기억은 진실 된 과거와 충돌하게 된다. ◆ 사전편집식과 연속제거식 우리는 대안을 평가할 때, 사전 편집 방식을 곧 잘 사용한다. 이는 자신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속성에서 최상으로 평가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상표를 선택한다고 하자. 제품 속성으로 가격· 디자인· 안전성등이 주어져 있을 때, 소비자가 가격을 가장 중요시 여기고 디자인을 다음으로 중요시 여긴다면, 그는 가격이 가장 저렴한 상표를 대안으로 선택하게 된다. 연속제거방식도 대안 평가의 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소비자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각각의 속성에 대한 평가점수가 최소 어느
중국 공산주의 혁명을 이끈 모택동은 중국내에서 양가적 평가를 받고 있다. 빛이 그림자에 의해 감추어지듯이, ‘혁명의 영웅 모택동'은 '문화대혁명의 지도자 모택동'의해 가려지고 있다는 평이다. 모택동도 자신의 업적에 대한 양면적 평가를 인정하였다. 1977년 중공중앙공작회의 폐막식에서 “내 일생에 두 가지 일을 했다”며, “하나는 장개석을 몇 개의 섬으로 내쫓고, 일본을 집으로 보낸 일이다. 다른 한 가지 일은 당신들이 잘 알고 있듯이 바로 문화대혁명을 일으킨 것이다. 이 일은 옹호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 반대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1981년 6월 27일,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건국 이래의 몇 가지 역사적 문제에 대한 당의 결의(建國以來黨的若幹歷史問題的決議)〉에서 문화대혁명에 대해 '문화대혁명의 좌편향 과오 그리고 이러한 과오가 거대한 규모로 장기간 지속된 것에 대한 책임은 마오쩌둥 동무에게 있다'라고 발표했다. 이처럼 모택동은 중국본토에 중화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데 절대적으로 기여한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지만, 1966년 5월부터 1976년 10월까지 극좌 사회주의 운동인 문화대혁명(문혁)을 주동한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 10
verb. 풀어주다, 놓아주다, 석방하다, 공개하다, 발표하다 release-released-released To give freedom or free movement to someone or something 누군가 혹은 어떤 것에게 자유나 자유로운 움직임을 주는 것 Noun>> release 석방, 풀어줌, 발표, 해방 / releaser 해방시키는 사람 repeatability 석방 가능성, 해방가능성 Adjective>> releasable 석방 가능한, 포기 할 수 있는 Synonym>> set free, discharge, liberate, loose, extricate, drop, undo, acquit, let go, absolve, exonerate, publish, issue, launch Idiom>> day-release 연수휴가제 / time-release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press release 대언론공식발표 / slow-release 점진적 감소의 ▶Is “Despacito” the song of the summer or not? “Despacito”는 이번 여름의 노래일까 아닐까
정세균 국회의장이 1일 여야 의원들에게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촉구한 것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입법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의장은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양당체제를 상정하고 설계된 선진화법이 다당체제의 정치적 역동성 발휘를 어렵게 하고 있다.”며 국회선진화법 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특히 정의장은 국회선진화법이 초래하는 정치적 교착상태에 대한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안건조정제도가 다수결의 원리를 훼손하며 예산안 자동부의제도가 의결 기능의 부실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의장은 “정부여당과 국회의장의 담합과 전횡을 방지하기 위해 직권상정 요건을 엄격히 제한한 일도 정치적 교착상태를 풀어갈 리더십 형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요건 완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국 정의장의 선진화법 개정 제안 배경은 국회선진화법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입법교착의 타개와 국회의 입법 생산성 제고에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입법교착 입법교착은 정책의 현상유지를 말한다. 정책의 변화가 없어 정치 환경의 변화와 활기를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이는 의회와 대통령이 정책 개선의 타협에 이르지 못한 결과이다. 입법교착은 정책의 변화 발전을 가
원칙(principle)과 재량(prudence)의 적절한 조화 균형. 이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는 미국 정치 외교의 오래된 숙제가 되어왔다. 원칙의 고수는 현실의 능률을 외면하도록 하고, 재량의 남용은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 원칙과 재량의 융통성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 원칙 – 권력의 분리와 견제 미국 정치 외교의 원칙은 권력의 분리와 견제이다. 미국의 권력분립론의 이념적 기초를 제공한 몽테스키외는 그의 저서 <법의 정신>에서 “권력을 가진 자는 그 권위를 남용하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권력상호간에 견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그는 “입법권과 집행권이 동일인이나 집단에 집중되면 자유란 존재할 수 없다.”며 기관간의 힘의 분리를 강조한다. 의회가 정책 의사결정을 담당하고 대통령은 정책을 집행하는 권력분립이 미국 정치외교의 원칙으로 자리하게 된 사상적 배경이 여기에 있다. 그런데 미국의 권력분립은 사실상 법의 지배를 근간으로 하는 의회우월주의를 뜻한다. 미국 헌법에서 대통령은 의회가 결정한 정책을 집행하는 수동적인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예컨대 전쟁권과 관련하여, 대통령은 입법부의 ‘두뇌’와 ‘지갑’에
Authorize verb. 권한을 주다, 재가하다, 정당하다고 인정하다authorize-authorized-authorizedTo give offical permission for something to happen, or to give someone offical permission to do something일어날 일에 대하여 공식적인 허가를 주거나,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공식적인 허가를 부여하는 것 Noun authority 권한, 권위, 당국, 지휘권, 권위자 / authorizer 위임자, 인가자 authorization 허가Adjective authorizable 권한을 줄 수 있는, 위임할 수 있는Synonym empower, commission, enable, permit, allow, grant, justify Idiom authorize (someone) to do - 누군가가 -하는 것에 힘을 실어주다 / be legally authorize to - 법률상 -할 권한이 주어져있다 Antonym forbid 금지하다▶Could congress stop Trump from bombing North Korea? 국회가 과연 도날드
2015년에 조세저항의 ‘민란’이 터졌다. 중산층이 주축이 된 연말정산 대란은 민란으로 불릴 정도로 국민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결국 정부는 연말정산으로 거둔 세금의 일부를 소급 환급하여 국민의 분노를 잠재울 수 있었다. 연말정산 대란의 원인은 과세형평성에 대한 불만이었다. 정부가 근로소득자들의 ‘유리지갑’에 손쉽게 과세한다는 지적과 대기업감세로 인한 재정압박을 개인 중산층의 주머니를 털어 보충한다는 비판이 일었다. 하지만 연말정산 대란은 분배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자원분배기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탓이라는 지적이 오히려 설득력을 얻는다. ◆ 전통적 분배 기준 - 분배는 선택에 민감하고 운(여건)에 민감하게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전통적인 기준은 자원을 선택에 민감하고 운에 민감하게 배분하는 방식이다. 자원분배가 선택에 민감(sensitive to their choices)하게 되는 것은 자신이 선택한 것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뜻이다. 이러한 견해에 의하면 개미로부터 베짱이로의 자원의 이전은 공정한 재분배로 허용될 수 없다. 이는 게으름을 선택한 이들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책임을 근면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전가하
미국 국장(Great Seal)과 1달러 지폐에 흰 머리 수리가 방패를 지키고 있습니다. 독수리 오른쪽 발에 쥐어진 13개 올리브 잎들의 나뭇가지는 평화에 대한 염원을, 왼쪽 발의 화살 13개는 전쟁을 의미합니다. 또 독수리의 부리가 리본을 물고 있는데요, 리본에는 E pluribus unum!이라는 라틴어 단어가 적혀있습니다. ‘여럿에서 하나로(the one from the many)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구는 1776년 초대 국새 선정위원이었던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제퍼슨등에 의해 발의된 것으로, 13개 식민지에서 탄생한 하나의 국가, 미국을 뜻합니다. 현재 ‘E pluribus unum!’은 여러 인종과 민족이 공존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공화당출신 George W, Bush 미국 대통령은 2001년 그의 취임사에서 “미국은 결코 피, 출생, 또는 흙에 의해 통일된 적이 없었다. 우리는 우리의 배경 건너편에서 움직이는 이상에 얽매여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양성과 관대한 포용력이 미국의 독립선언서에 담고 있는 자유와 평등에 기초하여 하나로 통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평등은 기회의 평등과 실질적 기회
Enforce verb. 집행하다, 강요하다 enforce-enforced-enforced To make people obey a law, or to make a particular situation happen or be accepted 사람들이 법률을 준수하도록 하거나 특정한 상황을 일어나게 하거나 받아들이게 하는 것 Noun>> enforcement 시행, 집행 / enforer 집행자 / enforceablity 시행가능성 Adjective>> enforceable 시행가능한 Synonym>> carry out, execute, fulfil, apply, implement Idiom>> enforce a law 법을 집행하다 / enforce a system 제도를 시행하다 ▶Virinia governer on white nationalists: They should leave America 버지니아 주지사는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미국을 떠나야한다고 말하다 Earlier, rally organizer Jason Kessler blamed law enforcement officers for violence
Grant verb. 승인하다, 인정하다 / noun. 보조금 grant-granted-granted To give or allow someone something, usually in offical way 누군가에게 무엇을 주거나 허용하는 것, 보통 공식적인 방식으로 Noun>> granter 허용하는 사람, 수여자, 양도자 Adjective>> grantable 허가의 Synonym>> admit, acknowledge, concede, confess, allow Idiom>> grant that~ 설사 ~라 할지라도 ▶ Korean restaurants in Seoul They will grant particular requests, so they will serve you samgyetang or spicy chicken stew if you call ahead. 출처: CNN Travel (그들은 특정한 요구들을 승인할 것이다. 만약 당신이 먼저 요청한다면 그들은 삼계탕이나 매운 닭죽을 제공할 것이다.) CNN Travel은 서울에 있는 최고의 음식점들을 소개했습니다. 여기서 ‘grant’는 ‘요청
“어디에도 없을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나무그늘이여 ” Ombra Mai Fu /Di Vegegabile/Care ed amaile/Soave piu (결코 어디에도 없을(mai...fu) 그늘(ombra) /나무/소중하고 사랑스러우며 /더 부드러운) https://youtu.be/N7XH-58eB8c 헨델의 오페라 <세르세>에서 페르시아왕 세르세는 아리아 “Ombra Mai Fu”를 부르며, 그의 안식처인 플라타나스 나무그늘을 찬미한다. 영화 <엘리자의 내일>에서 루마니아의 도시 외곽에 사는 외과의사 로메오는 카운터 테너, 안드레아스 숄의 <Ombra Mai Fu>를 즐겨 듣는다. 그도 안식처에서 쉼을 얻고자 한다. ◆ 루마니아의 독재자 차우세스크의 공포정치로 젊은 시절을 보낸 로메오의 소망은 그의 딸 엘리자가 영국 캠브리지대학에 장학생으로 진학하는 것이다. 엘리자는 마지막 졸업시험에 우수한 성적을 받게 되면, 캠브리지대로 유학을 떠날 수 있다. 그런데 엘리자는 시험전날 성폭행을 당할 뻔 한다. 저항으로 팔을 깁스한 엘리자는 정신적 충격이 더해져 시험을 제대로 치르지 못할 상황이다. 로메오는 이때 도덕적 선택에
EVALUATE verb. 평가하다, 가치를 판단하다 evaluate-evaluated-evaluated To judge or caculate the quality, importance, amount, or value of something 무언가의 품질, 중요성, 양, 혹은 가치를 판단하고 계산하는 것 Noun>> evaluation 평가, evaluator 평가하는 사람 Adjective>> evaluative 평가하는 Synonym>> judge, calculate, screen, assess, rate, reckon, estimate, weigh, gauge Idiom>> evaluate as -이라 평가하다, re-evaluate 재평가하다 ▶Experts evaluate Trump/Macron handshake(CNN, 17.07.17) 전문가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론 대통령의 악수를 평가하다 Experts in etiquette and body language analyze the handshake between American President Donald Trump and French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