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

[국회 예정처 보고서] (2016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특징) 정부정책주도의 단기적이고 현재집중의 성장, 민간부문의 미래적응형 성장과 균형을 맞춰야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R&D투자,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등 미래형 투자에 의한 성장으로 성장의 균형추를 이동시켜, 성장동력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부동산 경기부양등 정부정책에 힘입은 성장, 제조업기반 성장등 단기적으로 현재에 집중하는 성장패러다임과 장기적이고 미래대응적인 성장패러다임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하는 경제동향&이슈2월호에 실린 <2016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특징>에 의하면, 2016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서 정부의 소비와 부동산부양정책이 성장률을 떠받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정부에 의한 성장기여율 비중은 경제성장률의 52%에 이르렀다. 20162.7%p의 경제성장률 중, 정부기여도는 2.2%p였다. 부동산 및 건설 경기부양등 정부 정책에 힘입은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가 1.6%p를 차지하였고, 정부소비의 성장기여도도 0.6%p를 나타낸 것이다. 2016년의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가 2015년 수준인 0.6%p에 머물렀다면, 우리나라의 2016년의 경제성장률은 1%대로 하락할 수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산업구조측면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성장성은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제조업분야의 연간성장률은 20116.5%에서 20143.5%로 하락한 후, 20151.3%, 20161.7%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내 주력업종인 전기전자기기· 운송장비 관련 제조업이 2016년 들어 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나타내는 등, 제조업의 성장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이제 정부정책에 의존하는 성장에서 민간부문의 가계소비 및 기업의 투자 확대로, 또한 제조업 의존성장에서 지식재산생산물투자의 확대로, 성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저성장시대의 성장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되고 있다. R&D투자와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등의 비R&D투자를 뜻하는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노동력과 자본의 투입에 의한 성장방식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저성장시대에,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동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성장 면에서 여전히 미약하다. 2016년의 성장기여도에서 0.1%p를 보이고 있고, 연간 성장률에서도 2.4%에 머물렀다.

 

예정처는 연구개발투자등을 포함하는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는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경제성장기반 확보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이라며, “전통적인 요소 투입에 의한 성장이 한계를 보이므로 지식재산생산물투자의 확대 필요성은 점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