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영화

[영화 시사회 소식] 영화 <직지코드> 무료시사회, 21일 국회서 열려 : 서양 최초 금속활자와 고려 금속활자와의 숨겨진 관계, 다이내믹하게 추적

국회에서 영화 <직지코드> 시사회가 열린다.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대표의원 조승래, 전재수)21() 저녁 630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역사추적 다큐멘터리 <직지코드>의 무료시사회를 개최한다.


영화 <직지코드>의 제작진은 하나의 가설을 검증해간다.

 

가설은 경험적 증거(empirical evidence)에 의해 이론화된다. 28일 개봉되는 다큐멘터리 <직지코드>의 가설은 서양최초 금속활자가 동양 고려의 금속활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은 고려 우왕 때인 1377년에 간행된 직지심체요절, 독일 구텐베르크의 42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이나 앞서 만들어졌다.

 

제작진은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 5개국 7개 도시를 횡단하며, 다이내믹하고 집요하게 두 금속활자 인쇄본들 간의 숨겨진 관계를 하나씩 밝혀 간다.

 

시사회엔 관객과의 만남도 마련되어 있다. 영화를 연출한 우광한감독과 데이빗 레드먼감독, 그리고 직지코드 제작자인 정지영 감독과 장동찬 PD가 상영전 인사,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사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관객들은 의원 회관 2층 안내실에서 신분증을 맡기고 출입카드를 교환받아 시사회장으로 출입하면 된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