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영화

[ 오슨 웰스 100주년 회고전] 영화사상 최고의 걸작 <시민 케인>, 스크린에 걸린다

  

가장 위대한 영화, 최고의 걸작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 오슨 웰스의  <시민케인>이 스크린에 걸린다.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 배우는 사람, 그리고 만드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시네마테크 ‘서울아트 시네마’가 5월8일부터 5월 24일까지 개최하는 개관기념  「오슨 웰스 100주년 기념 회고전에서 오슨 웰스의 25세 때 데뷔작인 <시민케인>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이 회고전에는  개막작인 <상하이에서 온 여인>을 비롯하여 <악의 손길 > <심판> <오델로> <거짓과 진실> <심야의 종소리>등 오슨 웰스의 걸작 12편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서울아트시네마는 낙원동시대를 마감하고 종로 3가에 위치한 서울극장 11관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였다. 이 회고전은 종로 개관기념 첫 번째 프로그램이 된다. 

*문의 02-741-9782 www.cinematheque.seoul.kr


◆ 작품 소개 

<악의 손길>과 관련, 앙드레 바쟁은 “자동차 극장을 찾는 오락 취향의 일반 관객과 진지한 관객  모두를 만족시키는 걸작이다.”라며 극찬하였다. 이 작품은 필름느와르와 하드보일드 탐정물이 결합된 미국표현주의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심판>은 카프카의 동명소설을 기초로 한 작품으로, 웰스의 세계관을 잘 나타내고 있다. 웰스는 카프카의 수동적이고 허무주의 관점을 능동적이고 도전적인 시각으로 수정한다. 

카프카는 K가 사형집행인의 칼에 찔리는 등, K를 피동적인 존재로 묘사한다. 반면  웰스는 K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존재로 묘사하여, K가 치욕대신 자살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오셀로>는 칸느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작품이다. 섹스피어의 4대 비극의 하나인 <오셀로>에서 웰스는 시민케인보다 연출력에서 더 나은 평판을 받았다. 

<거짓과 진실>에서 웰스는 위조 화가를 소재로 하여 진실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그는 예술 작품의 가치는 내재 가치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여,  진실과 진정성에 의문을 품게 한다. 

전반부가  페이크 다큐멘터리인 이 영화는 프랑수아 라이헨바흐의 다큐멘터리 필름의 일부를 가져오고, 웰스 자신이 촬영한 필름을 덧붙였다. 이러한 형식 자체가 거짓을 상징하게 된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