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제

[그래샴의 법칙과 역선택 ] 보기 좋고 신 맛 뿐인 레몬보다 속이 알찬 복숭아에 관심을

그래샴의 법칙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고 말한다. 

16세기 영국에서는 금화나 은화가 화폐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영국왕실이  재정이 악화된 경우에는 주화 한 단위에 정금에 상응한  금은의 함량을 넣는 대신, 금은 함량을 줄이거나 혹은 순도가 낮은 금은을 넣어 주화를 만들곤 하였다.  예컨대 주화 한단위에 은을 90% 넣는 대신 30%만 포함시킨 것이다. 

이렇게 되자, 사람들은 금은 함량이 제대로 들어 간 주화는 내놓지 않고, 금은 함량 미달의 주화만을 통용시켰다. 

결국 화폐의 명목가치보다 실질가치가 낮은 과대평가된 악화가 만들어졌다. 이른바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 것이다.(Bad money drives out good money.) 과소평가된 것을 보유하고 과대평가된 것을 내놓는 것이다. 

이 그래샴 법칙은 과소평가된 것을 매입하고 과대평가된 것을 팔아 차익을 남기는 차익거래와 동일한 성격이다.  

차익거래는 강남보다 강북에서  라면이 더 싸다고 한다면, 강남에서의 라면은 과대평가되고, 강북의 라면은 과소평가된 것이다. 따라서 강북에서 과소평가된 라면을 사고,  강북에서 과대평가된 라면을 팔면 차익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무엇이 과소평가되고 과대평가된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세상의 이치에 대한 이해이다. 

그래샴의 법칙은 역선택으로도 설명된다. 역선택은 구매자가 숨겨진 정보로 인해 그릇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대 성격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결혼한 경우, 서로 역선택이라며 이혼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고자동차 시장이다.  중고차는 외관으로 그 성능이 어떤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구매자는 이 중고차의 성능에 대해 알 수 없다. 단지 그 차주만이 중고차의 과거를 상세히 알고 있다.  이처럼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중고차에 대한 정보가 비대칭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정보가 숨겨진 상태에서는, 구매자의 선택 기준은 중고차들의 평균가격이다. 성능 좋은 차와 나쁜 차의 판매 가격들의 평균을 구해, 중고차의 구입가격으로 책정한다. 이럴 경우, 성능 좋은 중고차의 판매가는 평균 값을 웃돌게 되므로, 이 차의 소유주는 중고차를 시장에서 철수시킨다.  

반면에 평균보다 성능이 떨어진 중고차만이 시장에서 나돌게 된다.  불량 중고차, 즉 레몬만이 시장에 존재하는 것이다. 마치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고, 악화만이 시장에 나도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렇다면 숨겨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제대로 된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 또는 과소, 과대평가된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 

정보의 비대칭으로 그릇된 결정을 내릴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이때 판단 기준은 겉으로 멋지거나 화려한 현상보다, 그 내면이 얼마나 진실 된 것인가이다. 

즉 명목치보다 실제치에, 그리고 형식(form)보다 실질(substance)에 더욱  집중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럴 때 환상과 착각에서 벗어나, 대상의 과소 과대를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보기에 좋지만 신 맛 뿐인 레몬보다, 겉으로는 그럴싸하지는 않아도  속이 제대로 알차게 영근 복숭아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