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영화

영화<마미>리뷰 :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헤매고 있다

갓난 아이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환성을 지른다. 거울의 모습과 자신이 같다는 놀라움 때문이었다.  

이 아이는 또한 거울의 모습처럼 엄마를 자신과 동일한 존재로 오인한다. 그래서 아이와 엄마 사이에는 틈새가 없다.

엄마의 품에 안긴 아이는 엄마의 보살핌과 사랑으로  충만을 느낀다. 


그런데, 이 아이는 커 가면서 깨닫는다. 거울 앞의 모습이 허상이라는 사실을.  이를 아는 시점은 엄마와 아이 사이의 틈새를 발견하는 시점이다. 

이 틈새는 보통 다른 대상이 끼어들어 생긴다. 아이의 눈에 그 대상은 자신과 엄마 사이를 방해 놓는 훼방꾼이다.  

이 갈라진 틈은 혼돈이다.  엄마와의 동일로 인한 완벽한 세계가 깨지는 아픔이다. 동시에 이는 참을 수 없는 분노이다. 

이 분리의 상실이 커지면 광기로 변한다. 동일시로부터의  분리는 파괴이다. 


이 결핍은  새로운 결합의  욕망을 가져온다.  이 틈새를 메우기 위해 계속 다른 대상과 결합하려 한다. 이 빈자리를  인정, 돈, 권력, 학문, 성등이  채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화려한  대상들로부터 욕구가 충족되어도, 어느 무엇도 과거 아이와 엄마와의 상상의 합일로 인한 충만은 안겨주지 못한다.  그래서 욕망은 무한하게 되고 이 결핍은 지속적이다.  아이는 결핍의 찌끼를 안고 무한히 욕망한다. 

아이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찾아 배회하면서, 허구의 대상을 잡고자 한다.  하지만 이 허상에는 채워지지 않는 틈새와 구멍이 있다. 

그래서 오늘도 아이는 ‘엄마’를 찾아 울고 있다. 




영화 <마미>의 1:1의 정사각형 화면 비율은 이러한 아이 스티브의 혼돈과 욕망을 상징한다. 어둑하고 잿빛의 기운을 감싸는  정사각형 프레임에 끼인 듯한 인물들을 보노라면 숨이 멎는 듯하다. 

이 갇힌 프레임에서 탈출해야 한다는 욕구가 가슴을 짓누른다. 어떠한 섬뜩한 장면 때문이라기보다, 정사각형 프레임이 주는 압박 때문이다. 프레임이 공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 그런데, 이 정사각형의 비율이 스르르 직사각형의 화면 비율로 변한다. 숨통이 트인다.  그리고 화면은 빛과 활기를 띠게 된다. 어느 새 화면에서 향기가 난다. 사람들 간의  ‘함께’라는 향기이다. 

잠시 후 다시 닫힌 1:1 화면 비율로 돌아간다. 그리고 스티브의 광기가 흐른다. 아 숨 막혀,,,  결핍과 욕망이 스티브를 짓누른다. 

1989년생 자비에 돌란 감독은 말한다. “내가 그 어떤 곳보다 알고 싶은 단 한 가지, 나에게 무조건적으로 영감을 줄 수 있는 단 한 가지.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내가 사랑하는 단 한가지 만 존재한다면 그것은 당연히 나의 엄마일 것이다. .....엄마는 항상 내가 돌아가고 싶은 곳이다.”

★2014 칸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138분, social sci-fi, 12월 18일 개봉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