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영화

[헤겔의 휴일: 정반합] 두 개의 익숙한 오브제가 결합되어 신선한 당혹감을 빚어내 :영화<끝까지 간다>리뷰

한 예술 작품이  이미 익숙해 있는 이미지를 예상치 못한 낯설음으로 전환 시켜, 경험된 틀을 탈피하도록 한다면, 일단 그 작품은 새로운 인식을  창조했다 할 수 있다. 

평탄한 대상들의 결합으로  긴장을 창조하고, 그 결과  서프라이즈를 빚어내는  정반합의 작업도  이러한 예가 될 수 있다.  

사물간의 결합으로 긴장과 이완을 통해 창의적인  낯설음을 창조한   대표적인 작품이  R. Magritte의 <헤겔의 휴일>이다. 



이 작품은 물이 담긴 유리잔과 비와 연관된 우산을 결합하여 물이라는 유사성을 조장한다.  또한 물을 담는 유리잔과 물을 막는 우산의 연합으로 모순을 창조한다. 이 두 대상들의  유사와 역설의 결합으로 신선한  당황이 다가온다.  

 이 당황이 정반합의 변증법을 통한 모순의 해소로, 한 단계 도약된 美를  창조한다. 

이러한 불안정과 투쟁이 기존의 균형점을 깨뜨려 긴장을 조성하고, 그 모순의 과정 속에서 결국 안정·이완·종착이라는 새로운 균형점이 만들어 진다. 여기서 과거의 균형점에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전환이라는  독특한 과정의  아름다움이 예술감상의 카타르시스의 역할을 한다. 

김성훈감독의 신작 <끝까지 간다>는 이러한 익숙한 대상들을 결합시켜 긴장과 이완이라는 모순과 함께, 두  캐릭터들의 正 反의 모순이  우리가 익히 경험하지 못한  신선한 낯설음을 느끼게 한다. 



악당 경찰과 적당히 타락한 경찰이  대립된다.  정의를 비웃는 두 경찰의 결합과 대립은  여기까지는 영화에서 우리가  자주 만나는 친근한 모습들이다.  

감독은 이 결합에 경험적 이미지를 뒤엎기 위해 연속적인 놀라움, 대립, 그리고 크지 않는 반전들을 영화 전체에 펼친다. 여기서 낯선 대립이 조성된다. 

감독도 “7년반만에 발표한 영화이다. 그래서 서프라이즈의 연속, 예측불허의 영화를 만들고자 하였다.”며 지난 9일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언론시사회에서 영화의 특징을 소개하였다.

동시에 감독은 그 대립과 서프라이즈의   긴장 속에 엉뚱한 유머를 툭 툭  던져 넣어, 긴장과 유머라는 모순이 이 영화를 정반합의 한 단계 진화된  균형점에 안착시킨다.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인 고건수(이선균 분)와 박창민(조진웅 분)의 아파트 격투신은 이러한 긴장과 대립 속에 코미디적인 미장센과 대사가 가미된다. 부서진 문틈을 통해 넥타이로 박철민의 손을 묶어 두고,  아파트 외벽을 타고 탈출하는 절박성을 드러낸 고건수와    영화전체 내내 카리스마의 강렬함을 표출해 온 박철민의 이 장면에서의 엉뚱함은 이러한 대표적인 예이다. 

 대립과 이완이라는 영화 전체에서 펼쳐지는 정과 반의 모순과 함께,    正의 고건수와 反의 박창민이라는  서프라이즈가 연속되는 정과반의  모순등은 결국 대단원에서  덜 나쁜 악당이 승리한다는 문법을 차용하여 관객들의 극단적인 상식을 벗어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정반합의 단계는 우리의 상식에 반하지 않지만, 이 점에서 상식에서 벗어나는 창의성을 기대하는 관객들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한계를 도정한다. 

따라서  관객의 보편적 기대의 상식의 合은 이 영화가 탁월한 클래식의 반열에 오르기에는 다소 역부족이다. 감독도 “이 영화는 관객의 한 일생을 바꾸는 영화는 아니다.”라며 “그러나 관객의 하루를 바꾸는 영화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하나의 균형점에서 탈출하여 대립이 형성되고 새로운 균형점으로 안착한다는 점은  긴장의 인내를 견뎌낸 관객들에 대한 보상일 수 있어, 이는 적절한 결론일 수 있다. 

이 영화는 제 67회 칸 영화제에서 출품 3일 만에 감독주간에 초청되었다.   칸도 이 영화의 정과 반 그리고 합의  그 서프라이즈를 인정한 결과일 테다. 

무엇보다 이선균과 조진웅의 성실한 연기는 관객들에게 진정성을 주기 충분하다. 이러한 연기는 영화가 관객들로 다가오면서,  점점 역으로 영화가 관객들을 끌어당기는 흡입력을 가져오게 한다.  이만큼 배우들의 진정성이 영화의 수동성을  능동성으로 전환시키는  매력을 발휘한다. 

 5월 29일 개봉 <끝까지 간다>  범죄 액션, 111분
  




[ 캐리 트레이드와 UIP퍼즐] 캐리 트레이드와 UIP 퍼즐의 구분 고금리 통화는 이론상 미래에 약세가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괴리에서 태어난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이고, 이 현상이 장기간 다양한 통화에서 반복된다면 이는 UIP 퍼즐입니다. ◆캐리 트레이드 현실에서는 UIP이론과 달리 고금리 통화가 예상만큼 약세를 보이지 않게 되면, 초과수익 기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①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는 저금리 통화로 자금을 차입해 고금리 통화 자산에 투자하여 이자율 차이와 환율 변동에서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다시말해 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은 금리차이 이익과 환차손의 합인데, 전자가 후자보다 클 경우 이 전략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일 경우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초과수익은 고금리 통화가 UIP이론만큼 약세가 되지 않는 현상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점에서 캐리트레이드는 환율변동의 예측에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일종의 투기전략입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실제 사례로 2000년대 초반~2008년 금융위기 전의 엔화-호주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꼽힙니다. 당시 일본 엔화(JPY)는 초저금리(0~0.5%)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