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나눔

[진도 여객선 침몰: 진도실내체육관 르포] ‘그들을 구원하소서’ : 진도실내체육관에 온정의 손길 필요..,


[진도실내체육관=온돌뉴스]

새벽 3시경, 진도 유람선 세월호 실종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진도 체육관 입구에 들어선 순간, 눈 앞에 펼쳐진 광경이 가슴을 쳤다. 그리고 절로 기도가 나왔다. ‘그들을 구원하소서’ 

 체육관 1층 바닥 전체는 모포로 빼곡히 뒤덮여 있었다. 실종자들의 가족, 친지, 그리고 선후배들이 모포를 덮은 채 지친 몸을 바닥에 누이고 있었다. 

그 넓은 체육관 1층 바닥에 쉴 공간이 부족하여, 일부 가족들은 체육관 2층 관중석에도 모포와 은박깔판을 바닥에 깔고 몸을 눕히고 있었다. 

하지만 지친 모습에도  한줄기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은 채, 실종자 가족들은  체육관 곳곳에서 잠들지 못하고 깨어 재난 방송에 귀를 기울고 있었다.

진도실내체육관에는  온정의 물결이 답지하고 있었다. 또한  각지에서 찾아온 개인들이나, 단체 자원봉사원들이  진도실내체육관과 팽목함에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체육관 입구에는 생필품 지원 센터가 설치되어,  구호품을   자원봉사들이 나누어 주고 있었다. 모포등 간이 침구는 충분히 공급되고 있었고,  생수,음료, 우유등과 간이식량인 컵라면, 초코파이, 바나나, 오렌지등도 실종자 가족들이 대기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잘 구비되어 있었다.   

구호품을 접수하고 있는 진도군 주민복지과의 담당자는  19일 0시 현재  수건이  가장 부족하다고 말한다. 또한  식료품과 수건, 치약등의 생필품은 2~3일 분 정도의  재고가 갖추어져 있다며, 전국 각지의 온정의 손길을 기다린다는 말을 덧붙였다. 구호품은  진도군 주민 복지과, (061) 540-3106~3111에서 접수하고 있다.

이미 마음의 상처로 큰 충격을 받은 실종자 가족들은 기자의 간단한 질문과 대화도 거부하며, 긴장과 고통의 순간들을 보내고 있었다. 실종자 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마음의 치유도 무엇보다 시급해 보였다. 그래서인지 체육관 한 켠에는  심리치료센터가 가동되고 있었다. 

타들어 가는 가족들에게 한 줄기 생명수는 우리 국민 모두의 간절한 실종자들의 생환에 대한 기원과 따뜻한 도움의 손길이다. 

새벽이 동 터오는 진도에 칠흙같은 어둠을 뚫고 희망의 한 줄기 빛이 비쳐오기를 기도한다.  



 



   




[ 캐리 트레이드와 UIP퍼즐] 캐리 트레이드와 UIP 퍼즐의 구분 고금리 통화는 이론상 미래에 약세가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괴리에서 태어난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이고, 이 현상이 장기간 다양한 통화에서 반복된다면 이는 UIP 퍼즐입니다. ◆캐리 트레이드 현실에서는 UIP이론과 달리 고금리 통화가 예상만큼 약세를 보이지 않게 되면, 초과수익 기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①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는 저금리 통화로 자금을 차입해 고금리 통화 자산에 투자하여 이자율 차이와 환율 변동에서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다시말해 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은 금리차이 이익과 환차손의 합인데, 전자가 후자보다 클 경우 이 전략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일 경우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초과수익은 고금리 통화가 UIP이론만큼 약세가 되지 않는 현상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점에서 캐리트레이드는 환율변동의 예측에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일종의 투기전략입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실제 사례로 2000년대 초반~2008년 금융위기 전의 엔화-호주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꼽힙니다. 당시 일본 엔화(JPY)는 초저금리(0~0.5%)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