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

[멋진 헤어짐]수철씨, 집에 가게 해주세요 : 게임이론 - 성의 대결과 치킨 게임

-I’ve got to go home . Let me go home
-두 차가 전속력으로 끝까지 달리면, 서로 충돌하고 두 사람 모두 크게 다쳐

수철이와 현주는 최근까지 커플로 지내왔습니다.


그런데 현주는 요즘 수철이와 헤어져 새 집으로 이사 갈 결심을 하였습니다.
둘의 속마음이 완전히 딴판이라는 걸 깨닫게 된 것이지요.


정통 ‘성의 대결(Battle of the Sexes)’ 게임이론에선, 협상력이 우월한 쪽이 상대를 설복하여  자신의 선호를 최종적인 균형점으로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현주는 뮤지컬보기를 즐깁니다. 하지만 수철이는 야구 관람을 좋아합니다. 두 사람이 함께 할 수 있기 위해선, 한 쪽이 자신의 선호를 포기해야 합니다. 수철이가 야구대신 뮤지컬을 선택하거나 현주가 뮤지컬을 포기하고 야구를 택해야 하는 것이죠.  그 과정에 이르기 위해선 협상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두 사람은 그럴 생각이 전혀 없습니다.  야구는 수철이의 정체를 확인하는 징표입니다. 현주에게 있어 뮤지컬은 몸의 한 세포와 같습니다. 각자 자신의 길을 걷는 것이 모두의 행복이 되는 이유입니다. 



◆the game of a chicken



두 사람의 감정의 골이 한층 깊어지자, 현주는 자신과 수철과의 관계가 ‘겁쟁이 게임(the game of a chicken)’같다고 느낍니다.  일차선 밖에 없는 도로에서 서로 마주보며 차를 출발시키는 상황 같다고 본 것이죠. 


현주는 겁쟁이 게임에서 최선의 선택은 무엇일까 생각해봅니다.


두 차가 전속력으로 끝까지 달리면, 서로 충돌하고 두 사람 모두 크게 다칩니다. 하지만 모두 도중에 피하면 비기게 됩니다. 이 게임은 정통 치킨게임처럼,  한쪽이 먼저 피하고 다른 쪽이 끝까지 달리면 달리는 쪽이 이기는 게임이 아닙니다. 둘 다 상대를 피하는 상황이  균형점입니다.



Let me go home


때문에 현주는 수철에게 이렇게 호소합니다.


I wanna go home
I’ve got to go home
Let me go home
난 집에 가고 싶어요
난 집에 가야만 한다고요
집에 가게 해 주세요


I feel just like I’m living someone else’s life
I know just why you could not come along with me.

This was not your dream

난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는 것처럼 느껴져요
당신은 왜 나와 함께 할 수 없는지 알아요
이건 당신이 바라던 꿈이 아니었어요


And I wanna go home
I’ve got to go home
Let me go home
난 집에 가고 싶어요
난 집에 가야만 한다고요
날 집에 가게 해줘요



<Home>sung by Micheal Buble from MichealBubleVEVO

https://www.youtube.com/watch?v=lbSOLBMUvIE&feature=youtu.be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