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나눔

[변화의 요소]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여섯 가지의 변화 요소, c, h, a, n, g, e



우리는 꿈꾸며 살기위해 태어났다고 합니다.  꿈을 꾸며 살거나 꿈과 가까이 살기를 원합니다. 


꿈꾸기의 본질은 변화, change에 있습니다.  현재의 상태인 존재와 목표인 당위간의 갭을 좁히는 변화의 과정이 꿈을 이루는 여정이 됩니다. 


그렇다면 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변화의 요소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미국의 하이포인트 대학의 총장이며  경영 컨설턴트인 니도 쿠베인(Nido Qubein)은 그의  저서 <석세스 로드>에서  여섯 가지의 변화 요소, 즉  c, h, a, n, g, e를 제시합니다. 


① c는 creativity를 일컫습니다. 변화의 첫 번째 요소는 창의성(creativity)입니다. 불을 때는데 석탄을 필요로 하듯이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해 지식이 필요합니다. 지식은 많이 읽고 많이 볼 때 쌓여 갑니다. 그러므로 도서관, 영화관등은 창의성의 보고라 할 수 있습니다. 


② h는 healthy habits를 말합니다.  변화에 잘 대처하려면  건강한 몸을 필요로 합니다. 몸이 건강하면 감성과 지성이 더욱 활발하고 예민해지기 때문입니다.


건강한 몸을 이루기 위한 필수요소로,  균형 잡힌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일과 휴식의 균형, 해로운 쾌락과의 결별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변화는 건강한 정신을 동반합니다. 자신을 사랑하는 긍정적인 생각, 결과를 신중하게 기다리는 인내, 감정적 고통을 덜어 주는 유머 감각등이 변화의 동력이 됩니다. 


③ a는 accommodation입니다.


밀물처럼 되돌릴 수 없는 변화에는 수용성이 요구됩니다. 그리고  변화의 거부 대신 변화를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시대착오적인 사고에 사로잡혀 밀려오는 파도에 저항하면,  존재는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대체재의 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과거의 관성에 사로잡히는 행태는 자멸을 부추길 뿐입니다.


그러므로 변화에 맞서기보다 변화를 인정하고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④n은 nose for news (정보를 찾아내는 능력)를 말합니다. 변화에 대처하려면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잘 모르는 일에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 관련 지식의 습득은 필수적입니다.  그러므로 변화를 원한다면 관련 문헌을 광범위하게 섭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⑤ g는 good-bye to the past를 말합니다. 우리는 집의 가구를 바꾸기 위해  낡은 가구를 먼저 없애버려야 합니다. 그래야 새 가구를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사고를 받아들이기 위해선, 낡은 사고방식과 익숙한 습관 중 불필요한 부분을 과감히 도려내야 합니다. 익숙한 과거에 미련을 둔다면 미래를 만끽할 가능성은 없어질 겁니다.


⑥ e는 eagerness to change입니다. 우리의 앞날은 기대대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자기 충족적 예언이 이에 대한  예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상황을 부정적으로 기대하면  부정적인 결과를 만나게 되고, 긍정적인 변화를 꿈꾼다면 낙관적인 결과를 만날 수 있습니다.


쿠베인 총장이 강조한 ‘변화를 위한  열망’에 덧붙여, 자기 충족적 예언은 간혹 경쟁자를 무너뜨리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대한 것과는 달리 그 예언은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부정적인 기대가 실현되는 것을 막기 위한 대비가  마련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자기 부정적 예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유명한 예언자가 ××항공비행기가 테러로 폭파될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이들은 그 비행기를 타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를 본 테러범들은 그 비행기를 테러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국 그 예언은 실현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경쟁자들은 상대의 허점만을 예리하게 공격하기보다 자신의 장점을 계발하는 성숙한 태도를 드러낼 필요가 있습니다.    공격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자기 부정적 예언은 자신의 결핍을 공공연히 노출시킬  뿐입니다.


결국 변화의 요소는  삶을 지속적으로 새롭게 하는 동력이 됩니다. 이때문에 우리의 삶은 끊임없는 시작입니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