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외국어

[토익,텝스 어휘] APPRECIATE

 Appreciate

 

1) to understand how serious or important a situation or problem is or what someone's feelings are (= realize):

 

어떤 상황이나 문제 또는 누군가의 기분 등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이해하다라는 의미로서, ‘깨닫다’, ‘인정하다정도로 해석하면 됩니다. that 절이나 what, how, why 등으로 시작하는 명사절을 그 뒤에 이끌 수도 있습니다.

 

We have to appreciate history but we tend to forget the past too quickly.

우리는 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는데, 너무나 빨리 과거를 잊는 경향이 있다.

We appreciate that caring for children is an important job.

우리는 어린이를 돌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인정한다.

At that time, it was difficult to appreciate how bad the situation had become.

그 당시에 얼마나 상황이 나쁘게 나가고 있는지를 알기란 어려웠다.

 

2) to thank someone in a polite way or to say that you are grateful for something they have done:

 

정중한 방식으로 누군가에게 감사하다, 또는 누군가 해준 일에 대해 감사를 느낀다고 말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감사에 있어 thank보다 더 정중하고 예의를 차리는 느낌이 듭니다.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cooperate with Mr. Johnson on the project.

당신이 그 프로젝트에 대해 존슨 씨에게 협조해 주신다면 감사드리겠습니다.

I really appreciate all that you have done, but my plans have changed.

당신이 해주신 모든 것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저의 계획이 변경되었습니다.

 

3) to understand how good or useful someone or something is:

사람이나 사물이 얼마나 좋고 유용한지를 이해하다라는 의미로서 주로 감상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In that art museum, you can appreciate fine Korean paintings and porcelain.

저 미술관에서 당신은 한국의 그림과 도자기를 감상할 수 있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