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외국어

[토익,텝스 어휘] PREFER

 prefer

1) to like someone or something more than someone or something else, so that you would choose it if you could: 
‘어떤 물건이나 사람을 다른 물건이나 사람보다 더 좋아하고, 그래서 가능하면 그것을 선택하게 되다’라는 의미인데, ‘선호하다’로 해석됩니다. prefer 뒤에는 동명사와 to 부정사가 모두 목적어로 올 수 있습니다. 물론 명사, 대명사, 그리고 명사절도 목적어로 올 수 있습니다. 

① The young generation nowadays prefers to look into their PC or phone in their own space. 
요즘의 젊은 세대는 자신들만의 공간에서 컴퓨터나 폰을 들여다보는 것을 선호한다. 
② Many customers prefer to read books online because it is free and convenient
많은 고객들이 온라인에서 책을 읽는 것을 선호하는데, 무료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③ We prefer that our teachers have a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우리는 선생님들이 유아교육 분야에 학위를 가졌으면 한다.  

2) prefer A to B: ‘B보다 A를 더 선호하다’라는 의미입니다. A와 B의 자리에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는 가능하지만, to 부정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to 대신에 than이나 rather than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해도 됩니다.  

① They prefer to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r exercise to buying expensive brand names. 
그들은 비싼 명품들을 사는 것보다 악기를 연주하거나 운동을 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② People are gett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healthy life, so the trend is to prefer tea to coffee. 
사람들이 점점 더 건강한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커피보다 차를 선호하는 것이 유행이다. 
③ Korean children prefer to study with friends in a private school rather than to study at home by themselves. 
한국의 학생들은 집에서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는 학원에서 친구들과 같이 공부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 캐리 트레이드와 UIP퍼즐] 캐리 트레이드와 UIP 퍼즐의 구분 고금리 통화는 이론상 미래에 약세가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괴리에서 태어난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이고, 이 현상이 장기간 다양한 통화에서 반복된다면 이는 UIP 퍼즐입니다. ◆캐리 트레이드 현실에서는 UIP이론과 달리 고금리 통화가 예상만큼 약세를 보이지 않게 되면, 초과수익 기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이 캐리 트레이드입니다. ①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는 저금리 통화로 자금을 차입해 고금리 통화 자산에 투자하여 이자율 차이와 환율 변동에서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다시말해 캐리트레이드의 초과수익은 금리차이 이익과 환차손의 합인데, 전자가 후자보다 클 경우 이 전략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일 경우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초과수익은 고금리 통화가 UIP이론만큼 약세가 되지 않는 현상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점에서 캐리트레이드는 환율변동의 예측에 실패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일종의 투기전략입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실제 사례로 2000년대 초반~2008년 금융위기 전의 엔화-호주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꼽힙니다. 당시 일본 엔화(JPY)는 초저금리(0~0.5%)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