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외국어

[vocabulary building] Authorize -미 의회, 트럼프의 전쟁 수행 막기에 한계 있어

Authorize

verb. 권한을 주다, 재가하다, 정당하다고 인정하다
authorize-authorized-authorized


To give offical permission for something to happen, or to give someone offical permission to do something
일어날 일에 대하여 공식적인 허가를 주거나,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공식적인 허가를 부여하는 것


Noun>> authority 권한, 권위, 당국, 지휘권, 권위자 / authorizer 위임자, 인가자  authorization 허가
Adjective>> authorizable 권한을 줄 수 있는, 위임할 수 있는


Synonym>> empower, commission, enable, permit, allow, grant, justify
Idiom>> authorize (someone) to do - 누군가가 -하는 것에 힘을 실어주다 / be legally authorize to - 법률상 -할 권한이 주어져있다
Antonym>> forbid 금지하다



▶Could congress stop Trump from bombing North Korea?
   국회가 과연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폭격을 막을 수 있을까?


“The consititution gives tremendous authority for president of United States to act on his own,” said Roger Zakhelm, a former Houses Armed Services Committee aid. 
 
“헌법은 미국의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엄청난 권한을 준다” (출처: CNN 뉴스)


미국과 북한 간의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재 시간), 화염과 분노 발언에 이어 대북 선제 타격 옵션을 경고하였습니다.


그는 “무슨 일이 생길지 앞으로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북한의 괌에 대한 공격을 언급한 것에 대한 맞대응 발언입니다. 


전문가들은 미국 헌법이 국회에게 전쟁을 선언하는  권한을 주고 있지만, 의회가 군 통수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공격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Don‘t question my authority or put me in a box...” <2+2=5> by Radiohead
   내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나를 틀에 가두지마


영국의 락밴드 「라디오헤드」의 <2+2=5>의 일부분 입니다. 이 노래의 가사는 개인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권위에 대항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사의  authority는 개인의 권위를 의미합니다. 


1990년대의 대표적 락밴드인 「라디오헤드」는 1993년 <Creep>로 데뷔하여,  다음 앨범 <Bends>로 락밴드의 입지를 다졌습니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