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

[미국 독립전쟁]강자는 약자를 패퇴시킨다? ; 강자의 오만은 약자의 승리의 원동력

-세계최강의 영국군,오합지졸 미국 독립군에 패배

우리는 풍요는 결핍을 누르고, 강자는 약자를 패퇴시킨다는 상식을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깨진 사건을 종종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니발이 이끄는 소수의 카르타고군이 로마 대군을  상대로 승리하였고, 소수의 홍군을 이끈 모택동이 압도적 다수의 백군을 이끈 장개석을 물리쳤습니다.  이처럼 역사에는 별 볼일 없는 약자가 불굴의 강자에 승리를 거두는 상식 밖의 사건이 왕왕 벌어지고 있습니다.  



 
식민지 미국이 식민모국인 영국과 맞서 싸운 독립전쟁도 결핍이 풍요를 이긴 전쟁으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습니다.


독립전쟁은 세금을 매기는 과세 권한을 둘러싼 영국과 미국 간의 갈등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식민본국 영국이 식민지 미국이 보유하고 있던 조세에 관한 권한을 영국왕실과 의회가 무시한 겁니다.  


미국의 모든 법률적 서류, 신문등에 인지를 붙이게 한 인지세법,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상용품에 대해 수입관세를 부과한 타운세드법, 동인도회사가 식민지 미국에 들여오는 차에 면세혜택을 부여받은 茶(차)법등은 식민지들의 동의 없이 영국의회에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법이었습니다. 이는 식민지들의 영국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하였습니다. 


1774년 7월4일, 13개 식민지 대표로 구성된 대륙회의는 독립선언서를 발표합니다. 독립선언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된 미국혁명전쟁은 1781년 10월 19일 뉴욕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이 항복함으로써 막을 내립니다. 종전으로 미국은 식민본국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게 됩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세계최강의 영국군이 오합지졸에 불과한 미국 독립군에 패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영국의 오만이 미국의 승리에 한 몫 했다는 분석입니다.  이긴 쪽이 잘했다기보다 진 쪽에서 문제가 많았다는 겁니다.  영국은 강하고 크므로 당연히 이길 거라고 믿었다는 거죠. 이러한 자만으로 영국은 치밀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소홀히 했습니다.


반면 약자인 미국은 초기 전투의 패배를 교훈삼아 세련된 전술을 가다듬게 됩니다. 워싱턴은 신대륙 산악 지역에서 게릴라 전술을 펼치며 최강의 무기로 무장한 영국군을 물리칩니다. 


또한 미국은 든든한 우방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7년 전쟁으로 영국과 원수가 된 프랑스가 미국을 적극 지원한 것입니다. 


결국 강자는 지속적으로 역량을 가다듬지 않고 오만과 자만에 빠지게 되면 나중 된  자가 되고, 약자는  운명,포르투나를   거부하고  역량,  비르투를  쌓아가면  먼저 된 자가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미국독립전쟁은  알려주고  있습니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