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시

"건축에 사용할 목재를 점검하고 있는 슈바이처 1954" - 유진스미스가 전설의 포토그래퍼가 된 까닭

 

“건축에 사용할  목재를 점검하고 있는 슈바이처 1954”

 

이 사진이 유진 스미스를 TV가 발명되기 이전  최고의 보도사진전문지 <LIFE>를 떠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작품은 예수를 떠올리게 한다. 우선 슈바이처가 하얀 옷을 입고, 하얀 모자를 쓰고 있다.  슈바이처 머리위로 흑인 한명이 올라타 있는 듯한  모습을하고 있고,  주변에 검은 손들은 도움을 갈구하는 것처럼 슈바이처를 향하고 있다.  또한 목재를 점검하고 있는 이 사진은 예수의 공생에 이전의 직업인 목수 이미지와 겹친다.

 

<라이프>의 편집진은  이 점에 착안하여, 슈바이처를 성자로 묘사하고 이 사진을 부각시키고자한다.  하지만 유진은 슈바이처를  휴머니즘이 가득한 한 인간으로 그리고 싶어한다. 슈바이처는 saint가 아닌 것이다.

 

이러한 편집진의 의도에 반발하여 그는 최고의 보도사진잡지 <라이프>를 미련없이 떠난다. 이는 그가 백조처럼 오만하다는 평가보다, 그의 마음이 시류에 타협하지 않는 외곬으로, 곧고 바르다는 의미 일게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굽어진 역사를 제대로 펴 온 자들은   바로 이러한 꼿꼿함으로 삷을 견뎌왔다. 단재 신채호는 일본강점기에 세수를 할 때, 목을 숙이지 않은 채 서서 세수를 했다고 한다. 단재는 세수할 때  일본에 굴복하는니 차라리 옷이 흠뻑 젖겠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작가의 믿음은 작품에 투영된다. 그래서 유진 스미스가  전설의 포토그래퍼가 된 까닭은 그의 신념과 무관하지 않다.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