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외국어

[ Pop & English ] (역할 모델) < Super Far > sung by LANY


[Verse 2]

Give it time
C'mon babe, it's been ten months
You should know, do you know,
know what you want
I don't think so, I don't think so
시간을 달라고?
제발, 이런지 열달이나 지났어
넌 알아야 해, 넌 알고 있니,
네가 뭘 원하는지?
내가 보기엔 아닌 것 같아, 아닌 것 같아


Make it work, know it hurts, but I'll go there
Do the same, can you show me that you care?
God, I hope so, but I don't think so
우리 사이가 좋아지려면, 아플 거라는 걸 알아, 하지만 난 그렇게 할꺼야
너도 그래 줄 수 있어?, 네가 신경 쓰고 있다는 걸 내게 보여줄 수 있어?
제발 그러 길 바래. 하지만 넌 그러지 않을 것 같아. 


[Pre-Chorus]

Don't be mean if you're here for good
I'm gonna need a little more from you
삐딱하게 굴지마, 내 곁에 있으려면 
난 네가 좀 더 마음 써 주길 바래


[Chorus]
Waking up to nothing when you're super far from home
네가 집에서 한참 멀리 있을 때면,  아무 일 없이 일어나.
And I watch you fall asleep at night and lay there on my own
그리고 난 네가 밤에 잠에 빠진 걸 보며,  나도 거기에 혼자 누웠지
Got me begging for affection, all you do is roll your eyes
내가 애정을 구걸하게 했지. 그리고 넌 그저 눈만 굴릴 뿐이야
Broken down, I've had enough
완전히 지쳤어, 그걸로 충분해
If this is love, I don't want it
만약 이게 사랑이라면 난 원하지 않아


All my friends keep saying that I'm way too good to you
모든 내 친구들은 내가 너에게 너무 좋게 대한다고 말해
But my heart is so invested, I don't wanna face the truth
그러나 내 마음은 너무 소모되었어. 난 진실에 부딪치고 싶지 않아
I'm not happy, and you know it, and you still don't even try
난 행복하지 않아. 그리고 넌 그걸 알아. 넌 여전히 애쓰고 있지 않지.
Broken down, I've had enough
완전히 지쳤어, 그걸로 충분해
If this is love, I don't want it
만약 이게 사랑이라면 난 원하지 않아


<Super Far> sung by LANY

(https://youtu.be/O78Lpo4ctSE, 총 3:39)



미국 남성 3인조 밴드 ‘레이니’는 2014년에 결성된 인디 팝 밴드입니다.


폴 제인슨 클라인( Paul Jason Klein)은  리드보컬・ 키보드・ 피아노・ 기타를,  제이크 클리포드 고스(Jake Clifford Goss) 는 드럼・ 샘플링 패드를, 레스 프리스트(Les Priest)는 신디사이저・ 키보드・ 기타・ 백 보컬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레이니’는 2014년 3월 친구를 만나기 위해 네슈빌에 갔던 프라다 모델 출신 폴 클라인(Paul Klein)의 발걸음으로 시작됩니다. 솔로로 커리어를 쌓고 있었던 폴은 월즈(WRLDS)라는 프로젝트 그룹 활동을 하고 있었던 고스와 프리스트를 만나 ‘레이니’를 결성하게 되었습니다.


‘레이니’는 이어 4월에 <Hot Lights>, <Walk Away>라는 두 곡을 익명으로  인터넷 음악 사운드 클라우드에 올렸습니다.  그 해  데뷔앨범 <Acronymns>에서 타이틀 곡인 <ILYSB>가 인터넷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으면서 ‘레이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레이니’는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팬들과 교감하는 그룹입니다. 자신들의 음악적 예술성을 공고히 하는 것만큼 팬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클라인은 한 인터뷰에서 소셜 미디어는 ”(포스팅을 하는) 그들이 다가온다는 느낌이 있어야 한다.”며 자신이 직접 캡션을 달고 사진을 골라 자신의 휴대폰에 있는 것들로 포스팅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짧은 시간동안 급성장 할 수 있었던 주요한 이유로 소셜 미디어 팔로워들을 꼽기도 했습니다.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음악적 방향성에 항상 자부심을 가지고 꾸준히 나아가고 있는 ‘레이니’. 좀 더 큰 밴드가 되고 싶은 꿈을 꾸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들이 가진 것을 착실하게 보여주며 작은 무대라도 하나하나 열심히 하다보면, 언젠가 자신들이 꿈꾸던 그 위치에 도달해 서로에게 ”우리 정말 훌륭하게 해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밴드 이름 ‘레이니’는  전설적인 락 밴드 키스(KISS),  삼인조 그룹 너드(N.E.R.D)처럼 네 글자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클라인은 한 인터뷰에서 작명의 뒷얘기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리는 네 글자로 된 이름을 원한다는 걸 알고 있었어요. 디자인 때문이기도 했고, 심미학적인 이유로 그랬죠. 하지만 생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네 글자로 된 단어들은 모두 임자가 있어요.…그러다 로스앤젤레스(L.A)에서 뉴욕(New York)까지 가로지르며 날아가는 모습을 상상했고, 처음엔 L-A-N-Y를 생각했어요. 하지만 사람들이 계속 어떻게 발음하는지 혼란스러워해서 그냥 LANY로 정했고, 레이-니(Lay-Nee)로 발음하기로 정했어요.”


‘레이니’는  L.A에서 뉴욕까지 가로질러 자신들의 음악을  펼치겠다는 꿈을 밴드명 레이니에 담은 것입니다. 


이름은 꿈을 이루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레이니가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마음속으로 존경하는 인물・ 닮고자 하는 인물이 있다면, 역할 모델(role model)의 이름을 따, 자신의 별칭을 만들어 불러보는 것은 꿈을 이루는데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컨대 자신, 친구, 가족들이 자신을 박 링컨 (김 잡스, 최 다윗)으로  부른다면, 정말 그 사람이 링컨(잡스, 다윗)같은 인물이 안 되라는 법은 없겠지요.





[ 노란봉투법의 마이오피아와 역설 ] 노란 봉투법은 취약한 노동자의 ‘해고 통지서’ ◆ 노란봉투법의 역설 노란 봉투법의 도입 목적의 핵심은 ‘대기업-하청' 간의 격차를 줄여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대기업은 자본 대체로 생존하는 반면, ‘일자리의 허리’인 중소기업은 붕괴하면서 새로운 양극화 구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좌파진영 특유의 근시안적 정책의 전형인 노란봉투법은 소득 불평등 완화라는 취지와 달리 오히려 이를 악화시키는 역설을 초래하게 됩니다. ◆노란봉투법의 긍정적 효과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의 교섭력을 강화해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합니다. ①하청 노동자의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 하청 노동자가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의를 확대합니다. ②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소득 불평등 축소 이러한 노조 교섭 범위 확대는 ‘대기업 정규직과 하청·간접고용 간 격차 축소 → 소득 불평등 감소’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는 형평성 압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하청·비정규직의 임금이 오르면, 정규직은 격차 유지 명분으로 추가 인상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규직의 임금이 인상되면, 하청도 ‘동일노동 동일임금’ 논리로 따라올라갑니다. 그 결과 임금과 복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