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영화의 이해

[영화와 세상 ②: 잔상효과의 놀이기구들] 잔상효과가 순간의 연결을 연속된 움직임으로 인식

고대부터 사람들은 움직임을 재현 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였습니다. 그 결과가  영화의 발명입니다. 


영화 제작은 정지된 순간들을 연속시켜 움직임을 만드는 작업인데요, 이는 눈의 환각, 즉 잔상효과가 순간의 연결을 연속된 움직임으로 인식하는 것이지요. 


영국의 의사인 피터 마트 로제 박사가 1824년 잔상효과에 관한 논문을 발표한 이후, 사람들은 눈의 환각을 구현하는 놀이기구들을 고안합니다.



◆쏘마트로프
가장 원시적인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정지영상을 움직임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는 영국인 의사 존 에어튼 파리스가 1826년 고안한 쏘마트로프입니다.


쏘마트로프는 요술회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그림이 그려진 판자종이 원판의 회전으로 눈의 환각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편에 새, 다른 한 편에새 장을 그려놓고, 원판을 돌리면 새는 새장 속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쏘마트로프 제작 방법

https://youtu.be/FkRr4DgQOu4



◆페나키스토스코프  Phenakistoscope
1832년 벨기에의 물리학자인 조제프 플라토와 오스트리아의 기하학교수인 사이먼 스텝퍼는 페나키스토스코프를 고안합니다.


이 기구는 카메라의 셔터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두 개의 원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하나는 가장자리에 구멍이 나 있고 다른 하나에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거울 앞에서 원판이 돌아가면,  뒤쪽 판에 그려진 그림들이 앞 쪽 원판의 구멍을 통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페나키스토스코프 

https://youtu.be/EqG4KJ89Wqw



◆조트로프(Zoetrope)
조트로프는 ‘돌아가는 인생’이라는 뜻으로, 1834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조지 호너가 만든 회전 장난감입니다.


둥근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홈이 파져 있고, 둥근 원판의 안쪽에 연속적인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원판이 회전할 때 홈 사이로 원판을 들여다 보면, 그림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조트로프

https://youtu.be/-hE_fA9M580



◆프락시노스코프(Projecting Praxinoscope)
프랑스 에밀 레이노는 1877년 조트로프를 개조하여, 셔터원리를 환등기와 결합한  지금의 영사시스템과 흡사한 기구를 만듭니다. 


이 기구는 시각극장이라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스크린을 통해 움직임을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활동사진의 원리는 이렇습니다. 채색된 그림들이 처음에 반투명 물질(이후엔 셀룰로이드)의 띠에 그려집니다. 그리고  밝은 빛이 긴 띠를 따라 비추어지면 그 띠는 톱니바퀴와 릴의 미로를 따라 수동으로 돌려졌습니다.


하지만 시각극장은 단점이 있었습니다. 심한 소음, 느린 속도, 매번 손으로 프레임을 그려 띠를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결국 레이노의 영사 시스템은 1900년대에 등장한 다른 간단한 활동사진 방식에 밀려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 


이처럼 환각을 만드는 놀이기구를 통해 움직임을 재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열정들은 본격적인 활동사진의 발명으로 이어집니다.





[ 확률왜곡 곡선 ] '희망·공포·확실성·절박함'이 만드는 비합리적 선택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합리적 존재로 가정합니다. 그러나 실제 인간은 객관적 확률보다 「희망, 공포, 확실성, 절박함」 같은 감정에 이끌려 확률을 비이성적으로 왜곡합니다. 즉 희망에 복권을 사고, 공포에 비행기를 피하며, 확실성을 찾아 보험을 중복 가입하고, 절박함에 주식을 물타기합니다.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이 확률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정치적 프레임이 성공하는 이유도 그것이 논리적으로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비합리적 심리를 정교하게 파고들기 때문이다. ◆ 확률왜곡 곡선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확률가중함수에 근거한 확률왜곡곡선(inverse-S curve) 으로 설명됩니다. 이 곡선은 실제 확률이 마음속에서 어떻게 뒤틀리는지를 보여줍니다. ① 역 S자 모양 위 그래프의 역 S자 형태는 ‘위로 볼록 → 아래로 볼록’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가로축(x축)은 실제 확률을 나타냅니다. 세로축(y축)은 심리적 가중 확률값을 의미합니다. 45도 점선은 실제 확률과 심리적 확률이 일치하는 이상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반면, 역 S자 모양의 실선은 왜곡된 심리적 확률을 보여줍니다. 작은 확률 구간(왼쪽)은 위로 볼록, 큰 확률 구간(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