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기상청 제공

외국어

[토익 어휘] charge-2

 charge-2

여기서는 동사의 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to ask someone for a particular amount of money for something you are selling: 청구하다, 부담하다

 

The library will charge special fee for some books from foreign countries.

The hotels in tourist areas were charging too high prices for rooms.

 

2) to state officially that someone may be guilty of a crime: 기소하다

 

He was arrested at the spot and charged with murder of two girls.

After charged with bank robbery, they were sentence to ten years prison.

 

3) to say publicly that you think someone has done something wrong: 비난하다

 

Demonstrators have charged that the police used excessive force against them.

He charged that the teachers had abused some children in class.

 

4) to put or store electricity into an electrical equipment: 충전하다

 

Before starting the engine, you must check out that it has been charged.

시동을 걸기 전에 충전이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환율과 균형 ] 환율은 어떻게 균형을 되찾게하나? 오버슈팅 현상과 자산수익률 균형 회복의 메커니즘 물가가 고정일 때, 통화량증가는 실질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즉 자산시장 균형, 실질통화수요 균형, 총수요조정등의 균형, 환율의 장기 균형이 깨집니다. 이때 불균형을 균형으로 회복시키는 조정변수는 바로 환율입니다. ◆ 자산수익률의 균형 금융시장 (환율, 이자율)은 매우 신축적이어서 새로운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반응합니다. 반면 실물시장 (상품, 서비스 가격)은 계약, 메뉴판 교체 비용 등으로 인해 가격이 서서히 변하는 '가격 경직성(Sticky Prices)'을 가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량 증가로 인해 발생한 자산시장의 불균형, 자산수익률의 불균형은 환율조정에 위해 균형으로 회복됩니다. ① 상황 통화당국이 통화량을 증가시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통화량 증가에 즉각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실질통화공급량(M/P)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화수요의 변동도 불변이어서 화폐시장은 균형을 이룹니다. 하지만 실물시장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은 아직 그대로입니다. 즉 메뉴가격이 여전히 같습니다. 물가가 고정이므로, 실질통화공급량은 증가하고, 명목이자율은 하락합니다. 이는 국내 자산의 수익률을 낮춥니다. 이렇게 실질 유동성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할 통화수요가 늘어